한복 韓服
한복(조선옷)은 한민족 고유의 옷이다. 역사적으로 한민족은 고유한 의복인 한복을 입었다.
한복의 특징은 기본적으로 활동성을 중시하기 때문에 딱 붙는 옷이 아니다. 또한 착용할 경우 곡선이 살아나게 도와주는 미적 특징도 가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기모노나 한푸 등 이웃 국가들의 복식과 달리 한복은 저고리와 치마, 즉 상의와 하의가 분리되어 있어 형태상으로 구분된다.
한복의 시초는 고대 동북아시아의 스키타이-시베리아 문화에서 건너온 것으로 유목민의 다양한 의상 중의 하나로 그 뿌리를 찾을 수 있다. 한복 자체의 디자인과 관련해 가장 오래된 증거는 기원후 3세기 고구려 벽화에 담겨 있다.
현대의 한복은 조선 시대에 착용했던 한복과 유사성이 크다.
ko.wikipedia.org/wiki/%ED%95%9C%EB%B3%B5#%EA%B0%99%EC%9D%B4_%EB%B3%B4%EA%B8%B0
한복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양한 종류의 한복을 입은 행렬 한복(한국 한자: 韓服, 문화어: 조선옷)은 한민족 고유의 옷이다. 역사적으로 한민족은 고유한 의복을 입었으며 왕과 귀족은
ko.wikipedia.org
한푸 漢服
한푸는 중국 한족 고유의 옷이다.
한푸의 가장 중요한 특색은 옷깃을 우측으로 여미고 소매가 넓고 길며 단추대신 매듭을 묶는다는 점이다.
https://ko.wikipedia.org/wiki/%ED%95%9C%ED%91%B8
한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푸(한푸, 중국어 정체자: 漢服, 간체자: 汉服, 병음: hànfú)는 중국 한족고유의 옷이다. 한푸는 또 한장(漢裝), 화복(華服)이라고도 한다. 한푸란 주로 삼황오제
ko.wikipedia.org
한국식 한문 독음으로는 우리나라의 전통 의상처럼 둘 다 한복이지만, 한자가 漢服과 韓服으로 다르다. 때문에 중국어 발음에 따라 '한푸(Hanfu)'라고 구분에서 일컫는다. 또한 전통 의상은 대개 그 나라의 발음대로 부르고 표기하기 때문에 어찌 되었든 한푸라 일컫는 것이 맞다. 우리가 일본의 전통의상을 한국 한자음인 '착물(着物)'이 아니라 기모노라 하고, 만주족의 전통의상을 '기포(旗袍)'가 아닌 치파오라 일컫는 것과 마찬가지다.
https://namu.wiki/w/%ED%95%9C%ED%91%B8
한복과 한푸의 유래는 둘 다 비슷하다.
동북아시아의 의상에서 모티브를 가져왔으나,
둘은 다른 곳에서 다르게 발전되어 온 것이기 때문에 같은 옷이라 볼 수 없다.
위의 사진들을 보고 아래 사진을 봤을 때,
한복인지 한푸인지 분간이 안된다면 초등교육부터 다시 받기를 권한다.
'Life > Common sen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모는 왜 다른 털보다 굵고 곱슬거릴까? (0) | 2020.11.26 |
---|---|
헷갈리기 쉬운 음식물쓰레기 분리배출 방법 (0) | 2020.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