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www.youtube.com/watch?v=jjqgP9dpD1k
하버드 대학교에서 강의한 컴퓨터 과학(CS50) 영상
우리는 컴퓨터를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그럼 컴퓨터는 어떤 원리로 작동할까?
비트와 바이트
컴퓨터는 비트bit라는 아주 작은 데이터 단위를 통해 정보를 표현한다.
비트bit는 이진 숫자라는 뜻의 binary digit의 줄임말이다.
비트bit는 0과 1의 데이터만을 가지며 bit 8개가 모여 하나의 바이트byte를 이룬다.
따라서 바이트byte는 2^8=256개의 바이트 형태가 될 수 있다.
우리는 현실에서 10진법을 사용해서 0, 1, 2, 3, 4, 5, 6, 7, 8, 9, 10, 11 ··· 의 숫자를 나열할 수 있다.
2진법을 사용하면 0과 1만을 사용해서 0, 1, 10, 11, 100, 101, 110, 111 ··· 로 표현할 수 있다.
10진법을 사용해서 숫자 123을 표현하면
100의 자리(10^2) | 10의 자리(10^1) | 1의 자리(10^0) |
1 | 2 | 3 |
으로 나타낼 수 있다.
2진법으로 숫자 5를 표현하면
126(2^7) | 64(2^6) | 32(2^5) | 16(2^4) | 8(2^3) | 4(2^2) | 2(2^1) | 1(2^0) |
0 | 0 | 0 | 0 | 0 | 1 | 0 | 1 |
로 나타낼 수 있다.
데이터 표현하기
하나의 비트로는 어떠한 값이 참인지 거짓인지에 대한 정보를 컴퓨터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0 = true, 1 = false)
하나의 바이트(8bit)로는 영어 알파벳 한 개를 표시할 수 있다.
단위 | 정의 | 저장공간 크기 |
비트 bit | 0 또는 1 | 예 또는 아니오 |
바이트 byte | 8비트 | 영어 알파벳 한 개 |
킬로바이트 KB | 1,000 바이트 | 몇 개의 문단 |
메가바이트 MB | 1,000 킬로바이트 | 1분 길이의 mp3 노래 |
기가바이트 GB | 1,000 메가바이트 | 30분 길이의 HD 영화 |
테라바이트 TB | 1,000 기가바이트 | 심슨네 가족 16 시즌 분량 |
이제는 테라바이트가 익숙한 단위가 되었는데 이보다 더 큰 페타바이트와 엑사바이트 같은 단위도 존재한다.
728x90
반응형
'Learn >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파일링이란? (0) | 2020.11.22 |
---|---|
하버드 컴퓨터공학 CS50 - C언어 배우기 (0) | 2020.11.07 |
알고리즘, 의사코드Pseudo code (0) | 2020.11.03 |
CS50 - 정보의 표현 (0) | 2020.11.02 |